유역특성 분석 및 수질모델링에 기초한 대호호 수질개선방안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s of Daeho Reservoir based on the Analysis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Modelling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Environ Eng. 2018;40(7):267-27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8 August 14
doi : https://doi.org/10.4491/KSEE.2018.40.7.267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Human Planet
**Chungnam Institute
최무진, 정우혁, 황현동*, 김영일**,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주)휴먼플래닛
**충남연구원
Corresponding author E-mail: yikimenv@cni.re.kr Tel: 041-630-3932 Fax: 041-630-3993
Received 2018 April 9; Revised 2018 April 23; Accepted 2018 July 5.

Abstract

대호호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류하천 수질·유량조사, 농업배수로 수질조사, 퇴적물 내 오염물질 함유량조사, 대호호 및 삽교호 유입수 수질조사, 대호호 유역의 오염물질 배출특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호호로 유입되는 지류하천의 수질은 양호하였으나, 가뭄으로 인해 삽교호 물이 대호호로 유입되면서 대호호 수질이 호소 수질기준 IV등급을 초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호호 유역 내 오염원은 생활계와 축산계가 주요 오염원이었으며, 대호간척지 내 축산액비 살포지역을 중심으로 퇴적물의 오염물질 함유량이 높아 축산오염원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호호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삽교호 유입수의 수질을 우선적으로 개선하여야 하며,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수질개선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대호호로 유입되는 삽교호 유입량의 40% 정도를 생물학적 및 화학적으로 처리하면 호소 수질 IV등급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Trans Abstract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Daeho reservoir, this study implemented various analyses including the tributary water quality and flowrate monitoring,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agricultural drainage, Daeho reservoir and influent from Sapgyo reservoir, pollutants content of sediment, and pollutant discharge characteristic in Daeho reservoir watershed. The water quality of tributaries in Daeho reservoir watershed was good, but due to the drought, the water quality of Daeho reservoir exceeded the class IV of water environment standard in reservoir because the water from Sapgyo reservoir was introduced into the Daeho reservoir. The main pollution sources in the Daeho reservoir watershed were population and livestock. Careful management of livestock pollution sources should be needed because the pollutants content of sediment, which located in spraying area of liquid livestock manure in Daeho reservoir reclaimed land, were high. The water quality of influent from Sapgyo reservoir should be preferentially improved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in Daeho reservoir. As the evaluation results of water quality in Daeho reservoir for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water quality model, it was found that the water quality in Daheo reservoir due to the biological and chemical treatment of forty percent of the incoming water from Sapgyo reservoir would be predicted satisfaction of the class IV of water environment standard in reservoir.

1. 서 론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 기온, 홍수 및 가뭄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어 인공담수호를 농업용수로 활용하는 지역에서는 지역별 강수량 편차에 따라 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1]. 특히,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조성된 인공담수호는 대부분 장마철 일부기간을 제외하고 상류지역에서 유입되는 물을 모두 담수하여 체류시간 증가 및 퇴적물 침전에 따른 수질오염으로 수자원의 이용가치가 저하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2~4].

한편, 농경지 증대 및 용수확보를 위해 간척지 개발 및 방조제 건설로 조성된 대호호는 농업 및 공업용수로 활용되고 있으나, 2013년 호소 수질환경기준(COD 기준) IV등급(COD 8 mg/L 이하) 수준이었던 수질이 급속도로 악화되어 2015년 평균 COD가 11.6 mg/L로 VI등급(COD 10 mg/L 초과) 수준을 보였다[5,6]. 이로 인해 대호호를 농업용수로 공급받고 있는 농경지의 친환경농산물 인증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서해안의 지속적인 개발수요 및 오염원 증가에 따라 대호호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7]. 최근에는 대호호의 수량부족 및 수질악화에 대한 우려 섞인 목소리가 다양한 이해당사자로부터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2017년 6월에는 가뭄으로 인해 대호호 저수율이 0%를 기록하여 바닥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호호 유역현황 조사 및 분석, 오염원 배출특성 분석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질이 악화되고 있는 대호호의 수질을 가장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대호호 및 대호호로 유입되는 주요 지류하천의 유량 및 수질, 농업배수로의 수질 등을 조사하고, 대호호 하부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대호호 수질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역 내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배출특성조사 및 분석을 통해 대호호 수질악화 원인을 파악하였으며, 수질 악화 원인 분석을 기초로 다양한 대호호 수질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제안된 수질개선방안 가운데 최적의 수질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2.1. 대호호 유역현황

대호호는 1985년 서산시 대산읍과 당진시 대호면을 연결하는 방조제가 준공됨에 따라 조성된 인공담수호이다. 대호호의 총 저수량은 12,200만 톤, 유효저수량은 4,646만 톤, 사수량은 6,882만 톤으로 총 저수량은 크지만 사수량이 많아 실제 사용 가능한 용수량은 전체 저수량의 약 38%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대호호 유역의 면적은 289.7 km2로 전체의 57.5%는 당진시 지역이고, 나머지 42.5%는 서산시 지역에 포함된다[6]. 대호호 유역은 하천이 크게 발달하지는 않았지만, 성연천과 염솔천을 중심으로 2개의 수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천 모두 상·하류구간이 뚜렷이 구분되는 비슷한 양상을 지니고 있다.

2.2. 유역현황 조사 및 분석

대호호 유역현황 조사를 위해 대호호를 포함하여 지류하천을 대상으로 수질 및 유량을 측정하였다. 대호호로 유입되는 주요 지류하천인 성연천, 마중천, 염솔천 등 총 3개 지점에 대해 2016년 4월~12월까지 하천 수질 및 유량을 월 1회 측정하였다. 지류하천 유입에 따른 대호호의 수질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호호 내 3개 지점(Daeho1, Daeho2, Daeho3)은 환경부 물환경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였고, 추가적으로 2개 지점(Daeho4, Daeho5)은 지류하천 조사주기와 동일하게 실측하였다. 하천 수질 및 유량측정은 모두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시행하였다[8]. 하천유량은 하천단면과 평균유속자료를 바탕으로 유속면적법에 따라 산정하였고, 수질은 현장 측정항목인 수온, pH, 전기전도도를 포함하여 BOD, COD, TOC, SS, T-N, NO3-N, T-P, PO4-P 등 총 11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또한, 농업용수로 사용되는 대호호는 양수장과 배수장을 통해 용수가 지속적으로 순환되고 있어 농업용수가 많이 사용되는 시기에 농업용수 순환에 따른 대호호 수질변화를 조사하고자 주요 농업배수로 20개 지점에 대해 수질을 분석하였다.

한편, 대호호는 가뭄에 따른 농업용수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삽교호에서 용수를 공급받고 있어 삽교호 용수유입에 따른 대호호의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삽교호 용수유출지점(Sapgyo1), 삽교호 용수 대호호 유입지점(Daeho4), 대호호 내측지점(Daeho2)을 대상으로 삽교호 유입에 따른 대호호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삽교호 용수 유출지점과 대호호 내측지점은 환경부(ME) 물환경측정망 자료, 삽교호 용수 대호호 유입지점은 자체측정 자료와 한국농어촌공사(KRC) 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였다[5,9].

퇴적물 내 오염물질 축적에 따른 대호호의 수질영향 분석을 위해 대호호 내 수질조사 지점과 동일한 5개 지점을 대상으로 강우기(7~8월) 전·후 1회씩 총 2회에 걸쳐 퇴적물의 오염물질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퇴적물 분석을 위해 고무보트를 이용하여 반빈 그랩(Van Veen Grab) 채취기로 조사지점의 퇴적물을 채취하였으며, 동시에 퇴적물의 수질영향 분석을 위해 동일지점에서 반돈 채수기(Van Dorn Sampler; WildCo, FL, USA)를 이용하여 수심 1/3지점과 2/3지점의 대호호 시료도 각각 채취하였다. 퇴적물은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 화학적산소요구량(CODsed), 총질소(T-N), 총인(T-P), 중금속, 입도분석 및 원소(C, N, S) 함유량 등 총 19개 항목을 측정하였으며, 수심별 수질은 하천 수질항목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참고로 Fig. 1에 대호호 및 농업용배수로, 지류 하천 조사지점을 나타내었다.

Fig. 1.

Sampling locations map for water quality of tributaries, agricultural drainages and Daeho reservoir.

2.3.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산정

대호호 유역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오염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오염원을 그룹별(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로 조사하였다. 오염부하량은 현행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 따라 오염원을 그룹별로 산정하였다[10].

2.4. 수질개선방안 마련

대호호 수질분석 결과 및 지류하천 수질·유량조사결과, 오염부하량 산정결과 등에 기초하여 대호호의 수질오염 원인을 분석하였다. 대호호의 수질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대호호의 수질개선목표를 친환경농산물 인증기준인 호소기준 IV 등급(COD 8 mg/L 이하, T-P 0.1 mg/L 이하)으로 설정하였다. 수질개선목표 달성을 위해 대호호 및 주요 지류하천 수질·유량조사, 퇴적물 오염도 조사, 농업배수로 수질조사, 대호호 유역의 오염물질 배출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수질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2.5. 수질변화 예측을 통한 최적 수질개선방안 선정

하천 수질 및 유량조사결과, 오염물질 배출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대호호 수질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수질모델(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을 이용하여 수질개선정도를 평가하였다[11]. 대호호 수질예측을 위해 우선적으로 모의격자를 구성하고 수위-저수용량 관계곡선 및 한국농어촌공사의 배수갑문 운영자료를 활용하여 유입량 및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검·보정을 통해 EFDC 모델을 최종적으로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축된 EFDC 모델을 이용하여 수질개선방안별 비교·평가를 통해 최적의 대호호 수질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6].

3. 결과 및 고찰

3.1. 대호호 유역현황 분석결과

Table 1은 대호호 및 주요 지류하천을 대상으로 수질 및 유량을 조사한 결과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호호 수질은 측정지점에 따라 편차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대부분의 수질항목에서 호소 수질기준 IV등급을 초과하는 수준을 보였다. 대호호로 유입되는 지류하천인 성연천, 마중천, 염솔천의 경우 유기물 항목(BOD, COD, TOC)의 수질농도는 대호호에 비해 양호한 반면, T-N 농도는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대호호 저수량에 비해 하천유량이 상당히 적은 수준이어서 대호호 수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Table 2는 농업용수 순환에 따른 대호호 수질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농업배수로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이다. 농업배수로의 수질은 항목 및 측정지점에 따라 편차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대부분 대호호 수질과 유사한 수준을 보여 농업용수 순환에 따른 오염물질의 축적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Average water quality and flowrate of tributaries and Daeho-reservoir in Daeho-reservoir watershed

Average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drainage in Deaho reservoir

Fig. 2는 삽교호 용수 유입에 따른 대호호의 수질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지점별 수질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그림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COD항목에 비해 T-N과 T-P 항목이 삽교호와 대호호간 수질변화 연동성이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삽교호로부터 유입된 물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2016년에는 매우 유사한 패턴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가뭄으로 대호호 저수량이 감소하고 삽교호에서 유입되는 물량이 증가하면서 대호호의 수질이 삽교호와 유사한 수준으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Fig. 2.

Water quality variations between Sapgyo and Daeho reservoir.

3.2. 대호호 수심별 수질 및 퇴적물 분석결과

Table 3은 대호호 퇴적물 내 오염물질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대호호 내 5개 조사지점 가운데 Daeho1과 Daeho5 지점에서 유기물(COD, TOC, 완전연소가능량)과 영양염류(T-N, T-P) 모두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특히 T-N함유량은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5,600 mg/kg)을 상회하는 값을 보여 지역적으로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12]. 특히, Daeho5 지점은 Fig. 3에서와 같이 축산액비가 집중적으로 살포되는 지역이고, 유입하천의 유량이 적어 호소 내 유속감소로 인해 실트와 점토와 같은 퇴적물이 상대적으로 쉽게 퇴적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어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12].

Average pollutants content of sediments in Daeho reservoir

Fig. 3.

Distribution map for spraying of liquid livestock manure in Daeho-reservoir reclaimed land.

대호호 내 5개 조사지점의 평균 수용성인 함유량은 2.2 g/kg로 T-P 대비 수용성 인의 비율이 0.18%~0.43%의 범위를 보여 퇴적물 내 인은 용존성(soluble)보다는 비용존성(nonsoluble) 상태로 퇴적물에서의 인 용출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14,15]. 퇴적물의 C/N비는 평균 7.1 수준으로 퇴적물 내 유기물은 식물성 플랑크톤에게 쉽게 이용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C/S비는 5.7 정도로 전체적으로 담수 환경의 특성을 보인 반면, Daeho1 지점은 3.5 정도로 해수-기수환경의 특성을 보였다[16~18].

한편, Table 4는 퇴적물 조사지점의 수심별(수심 1/3지점 및 2/3지점) 수질을 분석한 결과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점별 수심과 수질항목에 따라 편차를 보였으며, COD, TOC, T-N, T-P 항목은 모두 호소 수질 IV등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기물 항목(BOD, COD, TOC)의 수질농도는 상층부가 하층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양염류 항목(T-N, T-P)은 반대로 하층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축산액비 살포에 따라 강우시 축산오염물질 유입 가능성이 높은 Daeho5 지점은 퇴적물 결과에서와 같이 하층부의 T-P 농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상층부와 하층부의 DO농도가 높아 인이 용출될 조건이 형성되지는 않았지만 DO농도가 낮아지는 시기 또는 조건이 형성되면 인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verage water quality according to depth at sediment sampling locations in Daeho reservoir

3.3. 대호호 유역 오염물질 배출특성 분석

대호호 유역의 오염물질 배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오염부하량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대호호 유역의 오염원 그룹별 BOD배출부하량 분포를 Fig. 4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활계 배출부하량은 인구밀도가 높은 대신 환경기초시설이 없어 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성연천 유역의 일부지역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축산계는 대호간척지내 축산시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당진지역에서 전반적으로 배출부하량이 큰 값을 보였는데, 이 지역은 액비살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강우 시 일시적으로 축산오염물질이 비점오염원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존재하여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Fig. 4.

Spatial distribution of discharged pollution load in Daeho reservoir watershed.

산업계 배출부하량은 산업시설이 위치한 지역에서 높았으며, 토지계는 전체면적이 크고 대지지목 비율이 높은 당진시 석문면 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호호 유역의 오염원 그룹별 배출부하밀도를 나타낸 Fig. 5에서와 같이 오염원 그룹에 따라 국지적으로 배출부하밀도가 높은 지역이 존재하였지만, 전반적으로 배출부하량이 높은 지역이 배출부하밀도 또한 높은 경향을 보였다.

Fig. 5.

Spatial distribution of discharged pollution load density in Daeho reservoir watershed.

3.4. 대호호 수질개선방안

대호호를 포함하여 유역 내 지류하천 수질·유량조사, 농업배수로 수질조사, 퇴적물 내 오염물질 함유량 조사, 대호호 및 삽교호 유입수 수질조사, 대호호 유역의 오염물질 배출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질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대호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대호호로 유입되는 삽교호 유입수의 수질개선 및 축산오염원 관리를 위한 저류지 설치 또는 인공습지 조성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대호호 수질이 삽교호 유입수의 수질 및 유량에 따라 변화되므로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6].

본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대호호의 부족한 농업용수를 삽교호에서 공급받게 되면서 대호호 수질이 삽교호와 유사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에 대호호로 유입되는 삽교호의 수질을 우선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호소 수질개선방법으로 기존 여러 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나[19~22], 설치와 운전이 용이하고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가 동시에 가능한 생물여과공정을 설치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호간척지 내에는 축산시설이 산재해있고, 특히 퇴적물 내 오염물질 함유량이 높은 Daeho5 지점을 중심으로 축산 액비가 집중적으로 살포되고 있어 강우 시 유출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저류지 설치 등의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대호간척지 내 농경지에서 각종 화학물질, 비료, 액비살포 등으로 오염물질이 유출될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수질 악화에 대비하고 추가적인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농업배수로 말단부를 중심으로 인공습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5. 대호호 수질예측을 통한 최적 수질개선방안

대호호 수질에 삽교호 용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수질개선을 위해 삽교호 유입수 수질개선과 축산시설을 중심으로 인공습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최적의 대안으로 선정하여 수질을 예측하였다. 대호호 수질 IV등급(COD 8 mg/L 이하, T-P 0.1 mg/L 이하) 달성을 목표로 Table 5와 같이 수질개선방안에 따른 장래 수질예측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시나리오1은 현재 대호호의 수질상태를 기준으로 모의한 것이며, 시나리오2는 유역 내 인공습지 조성, 시나리오3은 삽교호 유입수량의 20%를 생물학적(생물여과공정) 처리, 시나리오4는 삽교호 유입수량 40%를 생물학적(생물여과공정) 처리, 시나리오5는 삽교호 유입수량 20%를 생물학적(생물여과공정) 및 화학적(응집/침전) 처리, 시나리오6은 삽교호 유입수량 40%를 생물학적(생물여과공정) 및 화학적(응집/침전) 처리, 시나리오7은 인공습지 조성과 함께 삽교호 유입수량 40%를 생물학적(생물여과공정) 및 화학적(응집/침전) 처리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Composition of scenarios according to combination of pollutant reduction plans for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Daeho reservoir

Fig. 6은 수질개선 시나리오별 COD, T-N 및 T-P농도 예측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그림에서와 같이 인공습지 조성을 적용한 시나리오2는 현재 수질상태를 나타낸 시나리오1보다 수질이 약간 개선되었지만 거의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호호로 유입되는 삽교호 유입량 20% 또는 40%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거나(COD 50%, T-N 및 T-P 30% 제거), 삽교호 유입량의 20%를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COD 90%, T-N 및 T-P 75% 제거)를 병행하는 경우를 적용한 시나리오3~5는 호소 수질 V등급은 달성한 반면, IV등급(COD 8 mg/L 이하, T-P 0.1 mg/L 이하)은 달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대호호로 유입되는 삽교호 유입량 40%를 생물학적 및 화학적으로 처리하거나(COD 90%, T-N 및 T-P 75% 제거) 유역 내 인공습지를 추가적으로 조성하는 시나리오6~7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수질개선 목표인 IV등급 이내로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Fig. 6.

Results of water quality prediction according to seven scenarios.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대호호를 포함하여 유역 내 지류하천 수질· 유량조사, 농업배수로 수질조사, 퇴적물 내 오염물질 함유량 조사, 대호호 및 삽교호 유입수 수질조사, 대호호 유역의 오염물질 배출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질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호호는 대부분의 수질항목에서 호소 수질기준 IV등급을 초과하는 수준을 보였다. 주요 지류하천인 성연천, 마중천, 염솔천은 유기물 항목(BOD, COD, TOC)의 수질농도가 대호호보다 양호한 반면 T-N은 약간 높았지만, 전체적으로 대호호 저수량에 비해 하천유량이 상당히 적어 대호호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뭄에 따른 대호호의 저수량 감소로 인해 삽교호에서 대호호로 유입되는 물량이 증가하면서 대호호의 수질이 삽교호와 거의 유사한 패턴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보여 결과적으로 대호호의 수질이 삽교호와 유사한 수준으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호호 내 조사지점 가운데 Daeho1과 Daeho5 지점에서 퇴적물 내 유기물(COD, TOC, 완전연소가능량)과 영양염류(T-N, T-P) 모두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특히 T-N 함유량은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5.600 mg/kg)을 상회하는 값을 보여 지역적으로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호호 내 조사지점의 평균 수용성인 함유량은 2.2 mg/kg로 T-P 대비 수용성 인의 비율이 0.18%~0.43%의 범위를 보여 퇴적물 내 인은 용존성(soluble)보다는 비용존성(non-soluble) 상태로 인 용출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대호호 수심별 수질농도는 지점별 수심과 수질항목에 따라 편차를 보였고, COD, TOC, T-N, T-P 항목은 모두 호소 수질 IV등급을 초과하였다. 전반적으로 유기물 항목(BOD, COD, TOC)의 수질농도는 상층부가 하층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양염류 항목(T-N, T-P)은 반대로 하층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축산액비 살포에 따라 강우시 축산오염물질 유입 가능성이 높은 Daeho5 지점은 퇴적물 결과에서와 같이 하층부의 T-P 농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 상층부와 하층부의 DO농도가 높아 인이 용출될 조건이 형성되지는 않았지만 DO농도가 낮아지는 시기 또는 조건이 형성되면 인이 용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호호 유역은 생활계와 축산계가 주요 오염원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대호간척지 내 축산시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당진지역을 중심으로 액비살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강우 시 일시적으로 축산오염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호호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대호호 내 삽교호 유입수의 수질개선, 축산오염원 관리를 위한 저류지 또는 인공습지 조성 등이 필요하며, 특히, 대호호 수질이 삽교호 유입수의 수질 및 유량에 따라 변화되므로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호호 수질 IV등급(COD 8 mg/L 이하, T-P 0.1 mg/L 이하) 달성을 목표로 수질개선방안에 따른 대호호 수질변화를 수질모델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대호호로 유입되는 삽교호 유입량의 40% 정도를 생물학적 및 화학적으로 처리(COD 90%, T-N 및 T-P 75% 저감)하면 호소 수질 IV등급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추가적으로 인공습지를 조성하는 경우 수질이 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충남녹색환경지원센터에서 지원한 “대호호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CN-0107)”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비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Nam W. H., Hong E. M., Choi J. Y.. Uncertainty of water supply in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J. Korean Soc. Agric. Eng 56(2):11–23. 2014;
2. Choi M. J., Choi J. H., Kim Y. I..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pollutant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modeling of Seokmun reservoir watershed. J. Korean Soc. Environ. Eng 39(10):581–590. 2017;
3. Kwon Y. S., Bae M. J., Kim J. S., Kim, Y J., Kim B. H., Park Y. S.. Characterizing changes of water quality and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elected Korean reservoirs. Korean J. Ecol. and Environ 47(3):146–159. 2014;
4. Yi S. J.. Policy for water cycle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downstream- Focused on HRT of agricultural reservoir in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J. Korea Contents Assoc 11(9):246–253. 2011;
5.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Water Information System Homepage; http://water.nier.go.kr/main/mainContent.do.
6. Chung Nam Green Environment Center. A Study on the fundamental investigatio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Daeho reservoir; 2016.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Enforcement rules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the management of and support for organic foods, etc. 2015.
8.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 methods of water quality, Notification No. 2015-76; 2015.
9.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 Homepage; https://rawris.ekr.or.kr/main.do.
10. Ministry of Environment Technical guidelines of TMDL; 2014.
11. Jeon J.. Evaluation of EFDC for the simulations of water quality in Saemangeum Reservoior. J. Korean Soc. Water Environ 27(4):445–460. 2011;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sediment pollution evaluation standard of river and reservoir, Established Rule No. 687; 2015.
13. Lee J. K., Ahn T. W., Oh J. 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er quality on the phosphorus fraction properties from reservoir sediments. J. Korean Soc. Environ. Eng 32(9):840–850. 2010;
14. Oh J. M., Cho Y. C.. Effects of nutrients release from sediments on water quality in a small-size reservoir. J. Korean Soc. Environ. Eng 29(11):1217–1222. 2007;
15. Joo J. C., Choi S. H., Heo N. J., Liu Z. H., Jeon J. Y., Hur J. W.. Analysis of the benthic nutrient fluxes from sediments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ed as fishing spots. J. Korean Soc. Environ. Eng 39(11):613–625. 2017;
16. Berner R. A., Raiswell R.. C/S method for distinguishing freshwater from marine sedimentary rocks. Geology 12(6):365–368. 1984;
17. Sampei Y., Matsumoto E., Kamei T., Tokuoka T.. Sulfur and organic carbon relationship in sediments from coastal brackish lakes in the Shimane peninsula district, southwest Japan. Geochem. J 31(4):245–262. 1997;
18. Sampei Y., Matsumoto E.. C/N ratios in a sediment core from Nakaumi Lagoon, southwest Japan-usefulness as an organic source indicator-. Geochem. J 35(3):189–205. 2001;
19. Lee S. H., Kim S. H.. Assessment of cylinder-shaped filter system for improving reservoir water quality. J. Korean Soc. Environ. Eng 30(10):975–983. 2008;
20. Kim S. H., Kim S. W., Oh Y. G., Joo J. Y., Park C. H.. Evaluation on applicability of microbial products for reservoirs and wastewater treatment. J. Korea Soc. Urban Environ 11(3):333–341. 2011;
21. Park J. T.. Study on reservoir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Multi-stage flotation proces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15.
22. Lee J. K.. Comparison of effect and economical efficiency between alum and ferric chloride in coagulation-Ro filtration process for Dae-ho brakish water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201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Sampling locations map for water quality of tributaries, agricultural drainages and Daeho reservoir.

Fig. 2.

Water quality variations between Sapgyo and Daeho reservoir.

Fig. 3.

Distribution map for spraying of liquid livestock manure in Daeho-reservoir reclaimed land.

Fig. 4.

Spatial distribution of discharged pollution load in Daeho reservoir watershed.

Fig. 5.

Spatial distribution of discharged pollution load density in Daeho reservoir watershed.

Fig. 6.

Results of water quality prediction according to seven scenarios.

Table 1.

Average water quality and flowrate of tributaries and Daeho-reservoir in Daeho-reservoir watershed

Location Seongyeoncheon (T1) Majungcheon (T2) Yeomsolcheon (T3) Daehol (R1) Daeho2 (R2) Daeho3 (R3) Daeho4 (R4) Daeho5 (R5)
Parameter
Flowrate (m3/s) 0.803 0.091 0.301 - - - - -
Temp. (℃) 20.8 18.4 19.5 20.1 18 4 18.6 22.1 21.6
pH 8.4 7.8 8.3 8.3 8.3 8.1 8.5 8.8
EC (μS/cm) 1,787 1,230 1,387 2,908 2,861 2,797 880 2,787
BOD5 (mg/L) 2.7 1.3 1.2 3.6 3.1 4.0 7.1 4.7
CODMn (mg/L) 7.5 5.7 6.6 12.5 12.6 13.0 14.4 12.3
TOC (mg/L) 5.1 4.2 4.5 5.8 6.8 7.5 6.6 7.7
SS (mg/L) 11.1 4.0 2.7 10.2 11.9 17.3 10.5 13.7
T-N (mg/L) 2.303 5.361 2.806 1.464 1.340 1.588 3.144 1.632
NO3-N (mg/L) 0.651 1.505 1.282 0.251 0.232 0.220 0.709 0.294
T-P (mg/L) 0.128 0.086 0.064 0.116 0.096 0.111 0.135 0.166
PO4-P (mg/L) 0.030 0.026 0.019 0.048 0.025 0.027 0.014 0.013

Table 2.

Average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drainage in Deaho reservoir

Location Temp. (℃) pH EC (μS/cm) BOD5 (mg/L) CODMn (mg/L) TOC (mg/L) SS (mg/L) T-N (mg/L) T-P (mg/L)
D1 22.5 8.0 1,215 2.6 10.1 9.9 28.0 1.397 0.182
D2 19.1 7.8 1,367 0.8 10.5 7.9 3.4 1.310 0.125
D3 22.1 7.8 2,441 2.6 9.3 10.8 17.8 1.080 0.168
D4 20.8 8.4 1,982 0.8 7.3 8.9 9.4 1.488 0.120
D5 20.6 7.7 2,193 1.3 9.9 10.9 22.8 1.166 0.125
D6 21.2 8.7 2,135 1.3 8.8 10.8 9.2 2.285 0.298
D7 21.8 7.8 2,507 0.1 10.2 10.7 21.6 0.965 0.125
D8 24.9 8.1 2,067 1.1 8.1 8.4 27.6 1.493 0.130
D9 21.2 8.3 2,840 1.4 8.8 10.9 15.8 1.138 0.139
D10 23.3 8.2 3,470 1.2 11.7 11.0 20.0 1.291 0.077
D11 20.8 7.7 2,749 30.2 20.7 17.2 108.0 14.640 0.744
D12 19.6 7.7 2,738 1.4 8.3 10.9 15.2 0.931 0.120
D13 22.5 8.3 2,618 0.6 12.6 11.0 24.2 1.214 0.086
D14 20.2 7.8 2,304 5.0 8.3 11.9 8.2 1.027 0.168
D15 21.5 7.8 2,758 2.6 10.2 11.0 25.8 0.998 0.125
D16 22.2 8.2 2,817 1.2 12.4 11.7 27.2 1.267 0.091
D17 21.6 8.2 3,032 4.8 14.5 10.8 22.0 1.094 0.120
D18 23.8 8.2 2,920 1.0 10.9 11.3 10.6 0.850 0.154
D19 22.0 8.1 3,240 1.4 11.3 12.1 14.6 1.022 0.106
D20 21.0 8.3 4,273 7.9 17.3 12.7 23.0 1.915 0.187

Table 3.

Average pollutants content of sediments in Daeho reservoir

Site Daeho1 (R1) Daeho2 (R2) Daeho3 (R3) Daeho4 (R4) Daeho5 (R5)
Parameter
COD (%) 1.29 0.67 0.77 0.68 1.08
TOC (%) 2.62 1.14 1.50 1.24 1.52
T-N (mg/kg) 8,103 4,438 5,456 4,648 6,520
T-P (mg/kg) 882 672 629 583 976
Ignition loss (%) 6.95 3.23 3.48 2.84 5.87
Soluble reaction phosphorus (mg/kg) 1.6 1.7 2.4 1.3 4.2
Sand (%) 1.7 43.0 35.6 11.0 5.4
Silt (%) 62.6 53.4 56.1 86.2 74.4
Clay (%) 35.8 4.0 8.4 2.9 20.2
Moisture content (%) 79.2 53.9 51.3 51.5 70.5
Cd (mg/kg) 0.4 0.1 0.3 0.2 0.4
Cu (mg/kg) 24.1 11.9 16.8 16.2 21.6
Pb (mg/kg) 25.4 10.7 17.8 15.9 22.1
Zn (mg/kg) 72.5 31.4 63.7 51.2 77.4
Ni (mg/kg) 24.3 11.8 19.8 17.3 23.3
As (mg/kg) ND* ND* ND* ND* ND*
Hg (mg/kg) ND* ND* ND* ND* ND*
Cr6+ (mg/kg) ND* ND* ND* ND* ND*
C (%) 2.69 0.89 1.35 1.19 2.08
N (%) 0.41 0.13 0.4 0.16 0.31
S (%) 0.81 0.17 0.23 0.15 0.41
*

ND : Not Detected

Table 4.

Average water quality according to depth at sediment sampling locations in Daeho reservoir

Parameter Daehol (R1)
Daeho2 (R2)
Daeho3 (R3)
Daeho4 (R4) Daeho5 (R5)
Top Bottom Top Bottom Top Bottom Top Bottom
Depth (m) Total 13.6 7.9 6.7 1.7 6.6
Measured 2 7 11.1 1.5 6.0 1.5 5.0 0.7 1.5 5.0
Temp (℃) 19.6 17.5 20.4 18.1 21.4 19.9 21.2 21.3 19.4
pH 8.5 7.8 8.8 8.0 9.1 8.6 9.1 9.1 8.8
EC (μS/cm) 2,610 2,669 2,538 2,626 2,565 2,537 2,238 2,400 2,545
Chloride (mg/L) 840.2 889.8 840.0 857.9 801.2 776.4 716.1 772.9 840.2
DO (mg/L) 10.1 3.4 11.9 5.5 13.7 9.2 13.6 14.3 8.5
BOD5 (mg/L) 3.8 2.6 4.9 3.1 6.2 4.6 6.1 6.7 3.2
CODMn (mg/L) 15.2 9.7 12.0 10.0 12.8 12.5 12.9 13.2 10.5
TOC (mg/L) 7.2 6.7 7.6 6.9 7.7 7.8 7.9 8.0 7.4
SS (mg/L) 7.1 3.4 7.5 9.7 13.4 20.4 22.3 17.3 11.9
T-N (mg/L) 1.349 1.757 1.473 1.072 1.075 1.242 1.205 1.523 1.147
T-P (mg/L) 0.240 0.260 0.150 0.100 0.150 0.280 0.320 0.120 0.620

Table 5.

Composition of scenarios according to combination of pollutant reduction plans for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Daeho reservoir

Case Construetion of Wetland 20% of the inflow from Sapgyo reservoir
40% of the inflow from Sapgyo reservoir
Biological Treatment1) Biological& Chemical Treatment2) Biological Treatment1) Biological& Chemical Treatment2)
Scenario1 X X X X X
Scenario2 X X X X
Scenario3 X X X X
Scenario4 X X X X
Scenario5 X X X X
Scenario6 X X X X
Scenario7 X X X
1)

50% of COD, 30% of T-N, and 30% of T-P removal

2)

90% of COD, 75% of T-N, and 75% of T-P remo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