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The Korean text of this paper can be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on the website of http://jksee.or.kr through Google Translator.

J Korean Soc Environ Eng > Volume 46(6); 2024 > Article
최소동수경사 평가를 통한 상수 관망 최적 운영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eviously developed Eulerian path-based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program.

Methods

Dynamic programming, integer programming, genetic algorithms, and harmonic search methods were reviewed to overcome memory limitations for program execu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existing optimization techniques has limitations. Therefore, as an alternative method, a minimum hydraulic gradient method based on physical theory was introduced to establish a sequential pipes removal algorithm.

Results and Discussion

The excellence 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ere proven through the existing pipe network and optimal path analysis using the EPANET2 input file of the test-bed Y_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ptimal path analysis, in the case of the Y_ area pipe network, 66 pipes and 6,465 m pipe length were analyzed to be possible for removal or maintenance, which was found to be 18.3% of the total pipe length.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optimal pipe network analysis derived by the minimum hydraulic gradient method,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minimum pressure head, and it was evaluated that there was no effect on water supply from a hydraulic perspective. In particular, in terms of water quality, the minimum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was found to increase by 0.011 mg/L due to a decrease in residence time and pipe length, which was analyzed to improve water quality.

요약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Eulerian path 기반의 상수관망 설계 프로그램을 실제 설계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을 목적으로 추진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메모리 한계를 극복하고자 동적계획법, 정수계획법, 유전자알고리즘, 화음탐색법 등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기존 최적화 기법의 적용은 실무자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대안적 방법으로 물리적 이론에 기반한 최소동수경사법을 도입해 순차적 관로 제거 알고리즘을 확립하였다.

결과 및 토의:

시범 대상 지역의 EPANET2 입력파일을 이용해 관망해석, 최적경로분석 및 정비된 관망에 대한 관망해석을 통하여 본 프로그램의 우수성과 관망정비 사업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최적경로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범지역인 Y_지역 배수관망의 경우 66개의 관로, 6,465m의 관로 연장이 제거 또는 정비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전체관로 길이의 18.3%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최소동수경사법으로 도출한 최적 관망에 대한 해석결과에 따르면 최소압력수두는 변동이 없으며, 수리적 관점에서 용수공급에 대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수질적 측면에서 관로길이의 감소로 인한 체류시간의 감소로 최소잔류염소의 농도가 0.011mg/L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서 론

상수 관망은 도시지역의 용수 수용가에게 사용 가능한 수압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수질의 충분한 양을 공급하기 위한 사회 기반 시설이다[1]. 그러므로 상수 관망의 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는 수량 공급의 안정성, 수압 유지의 적정성 및 수질 보전 기능을 고려하여 엔지니어의 공학적인 판단으로 관로의 노선, 관경 및 연결 상태가 결정된다[2]. 그러나 실제 적용 시에는 새로운 주거단지의 조성이나 누수 등의 상수 관망 특성 변화로 인해 지점의 수요량이나 흐름 특성 변화가 야기되고 상수관망에 불확실성을 유발하여, 효과적인 운영을 종종 어렵게 한다. 이에 불확실한 미래의 수요량, 상수 관망내의 특성 변화 및 예산을 계획과 설계단계에서 반영하여 보다 높은 안정성과 신뢰도를 제고하는 설계가 필요하다[3,4]. 그러나 상수 관망은 지하에 매설되어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불필요한 관로에서 발생되는 누수 및 수질의 악화 등 운영 관리상의 문제점을 많이 야기한다[2].
특히 상수도는 과거 시설용량의 팽창과 더불어 관로의 연장 면에서도 많은 상수 관로가 지하에 매설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 매설된 관로와 신설 또는 확장된 관로가 연계된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복잡한 네트워크 관로 형태의 관로는 하나의 관로가 파손되는 사고의 경우에도 수돗물 공급 결로를 다양화하여 용수공급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과도하게 복잡한 상수관로 네트워크의 경우 단수 작업의 지연을 유발하거나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5]. 최근 상수관망 블록화 사업 또는 관망 정비 사업을 통하여 복잡한 네트워크형의 관로를 대-중-소 블록 형태의 계층화되고 효율적인 상수 관망 운영관리 체계가 도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연장을 차지하는 경년관로, 불량관로, 불용관로 등은 빈번한 수도사고의 유발, 급수 중단, 과도한 누수량, 수질 악화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6,7].
이에 2022년 Yoon 등은 수학자 Euler의 한붓그리기 개념을 상수 관망 설계에 적용하여 무의미관 및 불필요한 관로를 제거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1,2]. 그들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상수 관망의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불필요한 관로의 제거는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운영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불필요한 관로의 제거는 운영관리의 최적화 및 수질을 보전하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Eulerian path’ 개념은 ‘그래프(graph)의 모든 변(edge)을 중복하지 않고 지나가는 경로’ 정의되며, C-language를 이용하여 상수 관망의 계획 및 설계, 운영 및 유지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제시하였다. 그런데 Eulerian path가 실제 운영 중인 상수관망에서 무의미관이나 불필요한 관을 제거하는 데에 적용되는 경우 수리 및 수질의 해석 및 평가가 실시간으로 가능한지 검증이 완전하지 않았다. Eulerian path 개념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관을 제거하는 경우 절점(수용가)에 충분한 용수가 적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지 또는 취수원으로부터 절점(수용가)까지 수돗물의 공급과정에서 적정한 농도의 잔류염소가 유지되는지가 설계자 및 운영자의 가장 큰 관심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Eulerian path 기반의 상수관망 설계 프로그램을 실제 설계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을 목적으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Eulerian path 기반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최적화 기법들을 검토하였으며, 실제 설계자나 운영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시범대상지역인 국내 도시 시범 대상 지역의 배수관망에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및 2023년 본 저자가 Eulerian path를 수학적으로 상수 관망 설계에 적용하여 온 연구 결과를[1,2] 컴퓨터 근간의 프로그램으로 개발함으로써 엔지니어들이 쉽게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수행되었다. 그러나 Eulerian path 이론에 기반한 설계 개념을 실무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소화전이 연결된 관로를 제거한다거나 특정 관로의 제거로 인해 전체 관망의 역방향 흐름으로의 과도한 변화로 인한 수질 문제 유발 가능성이 예측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ulerian path 이론을 근간으로 관로 제거 원리를 유지하면서 수송 에너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최소동수경사 평가를 병행하여 실무적인 적용에 유연성을 제고시킨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기존 상수 관망 최적화 기법 이론 검토

최적화는 주어진 범위 안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찾아 자원 또는 비용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이다[8]. 최적화 기법은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단순한 시행착오법이 아닌 별도의 수학적 또는 변형된 방법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 직면한 관로의 수가 많은 관망에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실행 불가능의 문제 또는 과도한 모의시간 문제를 우회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최적화 방법인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 정수계획법(integer programming), 유전자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화음탐색법(harmonic search)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의 도입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2.1.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

동적계획법은 재귀라는 수학적 개념에 기초하여 다단계의 결정과정에서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Bellman에 의해 제안되었다. 동적계획법에서는 어느 양의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활동(activity)이라 정의하며, 이 활동에 의해 이익이 발생할 경우 이익의 총량은 배분된 자원의 양과 그 활동에 따라 결정된다. 각자의 활동이 독립적이라고 할 때 전배분과정의 효용은 개별적인 활동효용을 합계함으로써 얻어지는 최적성의 원리에 따라 수학적 모형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본 방법은 각종 배분문제, 재고문제, 경제문제 등의 여러 가지 결정문제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다. 특히 동적계획법은 목적함수와 제약조건 같은 식에 존재하는 비선형성을 다루기 쉽고, Markov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추계학적 특성을 가진 문제를 다루는데 유용하여 배수지 운영과 같은 다중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문제에 체계적 과정을 제공할수 있어 많이 이용되어 왔다[9].

2.2. 정수계획법(Integer programming)

정수계획법은 최적화 문제의 일종으로 주어진 정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목적 함수를 최적화하는 문제에 적용된다. 정수계획법은 선형계획법의 일종으로 변수가 정수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되는 최적화 문제에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수학적으로 표현되는 자연계의 문제는 펌프의 기동/정지 또는 관로의 개방/차단 등과 같은 정수의 문제가 있는 반면, 대부분의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목적함수 또는 제약조건 등이 실수로 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정수계획법은 혼합된 형태로 최적화의 문제에 적용되어 왔으며, 수자원의 최적 발전기 운영계획 모형이나, 상수도 관망의 최적 수질계측기점 선정 등의 문제에 활용되어 왔다[10].

2.3.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은 진화론의 적자생존과 자연도태의 유전학에 근거한 적응탐색 기법이다. 본 알고리즘은 1973년 Holland에 의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며, 여러 가지 어려운 조합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탐색을 수행하고 최적해에 근사한 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기법은 상수관망, 댐운영 등의 분야에서 많은 적용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상수관망 분야에서는 기존관로의 확장에 적용된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뉴욕시의 경우 기존의 최적화 결과보다도 많게는 2배까지 유전자 알고리즘이 최적의 비용을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관로의 개량은 매설 연수가 경과함에 따라 수질 악화와 누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갱생, 관교체, 관삽입, 관청소, 관라이닝 등의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을 적절한 시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 기법으로 방법과 시기를 결정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전자 알고리즘 중에서도 여러 개의 목적함수를 고려해 주는 다목적해법이 이용되어 실제 모로코의 한 도시에 운영한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또한 상수도의 운영관리 분야에도 본 기법은 적용될 수 있으며, 가장 전형적인 문제인 펌프의 스케줄, 운영시점 결정, 비상시 계획, 소화전의 위치와 규모에 대한 문제에 적용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11,12].

2.4. 화음 탐색법(Harmonic search)

화음탐색법은 재즈의 즉흥연주에서 반복적인 연습을 거듭할수록 좋은 화음이 만들어지는 현상에 착안하여 만들어진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여러 가지 악기가 소리를 내는 과정에서, 잘 어울리는 화음을 만들거나 불협화음을 내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훈련의 과정(반복 계산)을 통해 불협화음은 점차 사라지게 되고 미적으로 가장 아름다운 화음(Global Optimum, 최적해)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화음탐색법은 최적해 탐색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하모니 메모리 고려(Harmony Memory Considering) 연산자, 음조정(Pitch Adjusting) 연산자, 랜덤 탐색(Random Search) 연산자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연산자는 매개변수에 의해 연산 빈도가 통제되며 대상문제에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화음탐색법은 2001년에 처음 개발 된 이래로 공학 전 분야, 의학, 경영학,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며 국제적인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화음탐색법은 수자원공학 분야에 처음 적용되었으며, 주로 수문모형 매개변수 검·보정과 상하수도시스템 설계 및 운영 최적화에 화음탐색법이 적용되었다. 특히, 상하수도시스템 분야에서는 상수도관망 수요 절점의 최소압력요구 조건과 관 내 유속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소비용 관망설계에 Parameter-setting-free 화음탐색법이 적용되었으며, 펌프 에너지 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 펌프운영 솔루션 도출을 위해 화음탐색법을 이용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13].

2.5. 기존 최적화 기법의 범용적 적용상 한계

최적화 기법은 본 연구에서 지적된 관망 설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유용하게 검토될 수 있다. 그러나 동적계획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과 최단 경로탐색 문제에 있어서 각 네트워크 또는 경로상 비용이 일정하다는 가정이 있어야 한다[9]. 본 연구의 대상인 상수 관망 설계 문제에서는 관망에서의 에너지손실이 하류 측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차이는 최적화 문제를 구성하는 데 난이도를 높여 동적계획법 적용을 어렵게 만든다. 둘째, 상수 관망의 문제를 정수계획법 또는 혼합정수계획법을 이용하여 최적해를 구하는 문제 또는 목적함수와 제약 조건 구성에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10,11]. 특히 설계자의 경험 및 지식에 기반하여 도입되는 제약사항을 수학적으로 정형화시키는데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설계자나 운영자는 소화전에 연결된 관로를 제거하거나, 경년 관로를 우선적으로 제거하거나, 매설된 관로 중 불량 관종 구간을 우선적으로 제거하거나, 역류 발생을 심각하게 유발할 수 있는 관로를 제거하는 문제에서 경험이나 지식에 기반하여 의사결정을 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사결정에는 정량화하거나 기준을 설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됨에 따라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단순하지 않다. 마찬가지 이유로 유전자 알고리즘, 화음 탐색법 등의 최적화 기법을 실제 상수 관망 설계에 적용하는데 많은 제한 요소와 가정을 수반하고 있다[12,13].

3. 연구 방법

3.1. 최소동수경사법에 의한 순차적 관로 제거 알고리즘 도입

본 연구는 Eulerian path의 개념을 상수 관망 설계에 적용한 선행 연구에[1,2] 근간을 두고 있다. 오일러 경로를 이용한 상수관망의 제거 알고리즘은 관로의 수()가 증가할수록 EPANET2를 이용한 관망해석의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모의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와 더불어 컴퓨터 메모리의 한계로 인해 분석이 불가능한 상황이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검토된 최적화 기법들은 소화전 연결관로, 경년관로, 불량관종 등 운영자의 지식과 경험을 반영하지 못하는 사유로 실제 컴퓨터 근간의 프로그램에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1,2].
본 연구에서는 관로를 순차적으로 추가하는 것과는 반대의 절차로 관로를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우선 고려하였다. 이 때, 전체 상수관망의 흐름에 가장 영향이 적은 관로를 우선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관망의 수리학적 기능을 원래의 관망과 가장 유사한 흐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우선적으로 제거되는 관로는 상수관망 흐름에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므로 가장 불필요한 관로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에 대한 흐름영향을 대표하는 단위길이당 손실수두(동수경사 I)가 최소가 되는 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본 기법은 기존의 최적화 기법과는 달리 물리적(또는 유체역학적, 수리학적) 이론에 기반하고 있는데, 관로에서의 단위길이당 손실수두(동수경사 I)는 다음의 식(1)로 나타낼 수 있다.
(1)
I=hLL=10.67Q1.852CHW1.852D4.87
여기서, hL = 수두손실, L = 관길이, Q = 유량, CHW = Hazen-Williams의 조도계수, D = 관경을 나타낸다. 위의 식은 공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관로내를 흐르는 유량(Q)이 적을수록 동수경사(I)가 작다. 즉, 관로를 통과하는 유량이 적으면 불용관으로 간주하여 본 관로를 제거할 수 있다는 공학적 의미를 가진다. 둘째, 관경(D)이 클수록 동수경사(I)가 작다. 즉, 관로내를 흐르는 유량에 비하여 관경이 불필요하게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본 관로는 제거할 수 있다는 공학적 의미를 가진다. 셋째, 동수경사(I)가 작으면 관로를 제거하는 경우 주변관로 및 흐름에 대한 영향이 적으며, 추가적으로 다른 관로를 많이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관로의 유속(V)이 적은 관로에서는 동수경사(I)가 작아진다. 즉, 관로의 유속이 적으며 수돗물의 체류시간이 증가하여 수질(잔류염소의 감쇄)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최소동수경사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러한 공학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Fig. 1은 최소동수경사법에 의한 순차적 관로 제거 알고리즘을 정리한 것이다.

3.2. 절점의 Eulerian path 적합도 산정 및 검토

Eulerian path를 이용한 상수관망의 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경우, 수용가 위치의 임의성으로 인해 관로노선을 이상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오일러 경로에 의해 설정된 1개 관로의 파손 시 하류측 용수공급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소동수경사법을 이용한 순차적 관로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관망의 불용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Eulerian path 적합도’라는 인자를 도입하였다. 그래프 G=(V,E)가 Eulerian path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꼭지점(V)에 연결된 변(E)의 수가 짝수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이용하여 아래의 식(2)에 의해 Eulerian path 적합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Eulerian path 적합도(%)=절점에 연결된 관로가 짝수인 절점수모든 절점의 수 ×100 (%)

3.3. 역방향 흐름 비율의 산정 및 검토

상수 관망의 블록화나 관망 정비 사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관망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정비 사업들을 통해 유수율 제고, 관망의 수량적 안정성 확보 및 수질 개선 등의 효과가 뚜렷한데도,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사고는 사업 추진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관망 정비 사업의 수행 시 발생되는 수질 사고는 유수의 전환 시 탁수 및 적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한번 발생한 수질 사고는 관내의 흐름이 안정화되는 상당한 기간동안 지속되며, 소비자 불만 사항이 극도로 상승하며 이로 인한 수돗물 수질에 대한 불신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망정비 과정에서 불용관의 제거가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역방향 흐름 비율’라는 인자를 도입하였다. 즉, 1개의 관로를 제거하는 것이 전체 상수관망의 흐름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본상태의 관망해석 파일로 초기 관망해석을 실시하고 각 관로별로 흐름방향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관로의 제거시 기존의 흐름방향과 반대되는 관로의 내표면적을 계산하는 다음의 식(3)을 도입하였다.
(3)
역방향 흐름 비율(%)=역방향 흐름이 발생된 관로의 내표면적관망해석에 이용되는 전체 관로의 내표면적 ×100 (%)

4. 결과 및 토의

4.1. 시범 대상 지역에 대한 EPANET2 관망해석 결과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상수 관망은 S_시의 Y_지역 관로이며 EPANET2 입력파일을 이용해 기존 관망에 대한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의 대상이 되는 Y_지역 배수관망은 총 관로수 316개, 총 절점수(1개 배수지 포함) 262개, 총 관로길이 35,326 m로 구성되어 있다. 배수관망의 모의는 해석 조건에 입각하여 100 hr의 시간에 걸쳐 확장기간모의(extended period simulation)를 실시하였으며, 수리학적 모의 시간 간격은 1 hr, 수질 모의 시간 간격은 1/10 hr를 선정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석조건에서는 수질 모의시간 간격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EPANET2의 경우 디폴트(default)로 수리학적 모의시간 간격으로 1/10로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모의를 실행하였다. 확장기간모의에서 용수수요량의 시간적변화 패턴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동적인 결과분석이 가능하나, 기존의 입력파일에는 별도의 패턴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디폴트(Deault)인 일정한 패턴에 대해 모의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탱크(Tank)가 없는 Y_지역 배수관망의 수리학적 해석결과는 모든 시간대에 일정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수질모의 결과만이 시간대별로 달라질 수 있다.
다음 Fig. 2는 EPANET2에 의한 t=100 hr에서의 관망 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동수두에 대한 관망해석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Y_지역의 동수두 범위는 40~50 m인 것을 확인하였다. 일정한 범위 내의 동수두 결과로부터 배수구역의 크기가 많은 수두손실을 발생시킬 정도로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잔류염소에 대한 관망해석 결과 배수지(Reservoir)에서 0.33 mg/L인 잔류염소는 배수관망의 절점에서 감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소치는 0.0 mg/L로 나타났다. 최소치에 0.0 mg/L가 나타난 사유는 EPANET2에 의한 관망의 모의 시 용수 수요절점의 수요량(Base Demand)을 ‘0’으로 설정하는 관말(Dead End)의 경우, 유속이 ‘0’이 되고 체류시간이 무한대(∞)가 되어 잔류염소의 감쇄반응에 의한 0 mg/L가 모의결과로 발생된다. 따라서 적정한 수질모의를 위해서는 관말의 경우 절점의 용수수요량을 ‘0’이외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Fig. 3 참조).

4.2. 시범 대상 지역에 대한 Eulerian path 관망해석 결과

Euler Circuit의 관망해석 모듈로 해석한 결과를 아래에 도시하였다. 상태화면(Status Bar)에 나타나는 최소압력수두는 5.31 m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배수관망의 입력관로에서 최소압력수두는 저수지 유출지점으로 확인되었다. 최소압력수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목적은 관망의 어떤 절점에서도 부압이 발생되는 경우 흐름의 단절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프로그램에서는 이 인자가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태화면(Status Bar)에 나타나는 최소잔류염소 농도는 0.138 mg/L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EPANET2 해석결과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용수수요량이 없는 절점에서 발생된 0 mg/L의 잔류염소 농도를 제외한 최소값으로서 관망의 수질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였다.

4.3. Eulerian path에 의한 최적경로 분석

Eulerian path에 의한 최적경로 분석을 실행한 결과는 아래의 그림에 도시되었다(Fig. 6). 아래의 관망도에서 붉은색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제거대상 관로로 도출되었으며, 총 66개의 관로에 걸쳐 6,465 m가 제거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거대상이 되는 관로의 길이는 현재 매설된 관로 길이의 18.3%에 해당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본 분석에서는 소화전 연결관로, 역방향 흐름관로, 경년관로, 불량관종관로 등에 대한 고려는 하지 않았으며, 이는 상수관망의 설계자 또는 운영자가 별도의 속성정보 수집이 필요한 사항이거나, 공학적 관점에서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기 떄문이다.
최적경로 분석결과를 에너지손실(손실수두합), Euler경로 적합도, 역방향 흐름비율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Fig. 78). 첫째, 총 316개의 관로 35,326 m를 통해 수돗물을 공급하는 경우 관로의 손실로 발생되는 에너지의 합은 약 3.96 m인 반면, 66개의 관로에 걸쳐 6,465 m가 제거된 상태에서 관로의 손실로 발생되는 에너지의 합은 약 5.14 m로 약 1.18 m의 관로손실이 증가하였다. 이는 용수공급 관로의 길이가 줄어든 반면, 관로를 통하여 흐르는 유량 및 유속이 증가하여 비선형적인 에너지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배수관망의 계통처럼 배수지로부터 용수가 공급되는 경우 크지 않은 에너지 손실의 증가는 관로제거 및 관망정비로 인한 편익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최적경로 분석결과에 따른 관망정비를 수행하는 경우 입력관망의 Eulerian path 적합도인 41.15%에서 52.45%로 약 10.3%가 증가하였다. 즉, Eulerian path의 관점에서 중복되는 관로노선을 약 10.3% 개선하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입력관망에 대하여 66개 관로를 모두 제거하는 경우 초기 흐름방향에 비하여 0.44%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거의 역방향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탁수발생 등의 문제에서 별다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4.4. 최적경로 관망의 수리 및 수질해석 결과

이전 절에서 최적경로 분석이 완료된 출력관로(output network)에 대하여 Eulerian path의 관망해석 모듈로 해석한 결과를 아래에 도시하였다(Fig. 910) 본 해석결과에 따르면, 상태화면에 나타나는 최소압력수두는 5.31 m, 최소잔류염소 농도는 0.149 mg/L 로 확인되었다. 즉, 본 배수관망의 경우 66개의 관로가 제거된 이후에도 최소압력이 발생되는 지점은 배수지 유출지점으로 부압발생으로 인한 흐름의 단절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소잔류염소 농도는 입력관망의 0.138 mg/L에 비하여 출력관망의 잔류염소 농도의 최소치가 0.011 mg/L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로길이의 감소로 인한 체류시간 감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5.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Eulerian path 기반의 상수관망 설계 프로그램을 실제 설계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을 목적으로 추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Eulerian path 기반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최적화 기법들을 검토하였으며, 실제 설계자나 운영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시범대상지역 배수관망에 대한 적용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상의 연구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은 Euler 또는 Non-Euler 기법을 채용하는 것에 관계없이 관로의 수가 많은 상수관망에 대한 모의 및 검토를 수행하는 경우 컴퓨터 메모리의 한계에 의하여 실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소화전 연결관로의 유지, 관망정비로 인한 역방향 흐름의 최소화, 경년관로 및 불량관종 관로의 우선적 정비 등과 관련한 실무자의 경험과 지식이 반영될 수 있는 설계 프로그램에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메모리 한계를 극복하고자 동적계획법, 정수계획법, 유전자알고리즘, 화음탐색법 등을 검토하였으나, 이러한 최적화 기법의 적용은 실무자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대안적 방법으로 물리적 이론에 기반한 최소동수경사법을 도입해 순차적 관로 제거 알고리즘을 확립하였다. 본 기법의 적용으로 인한 Eulerian path와 같은 이상적 관망과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Eulerian path 적합도를 도입하였으며, 역방향 흐름비율 산정기법 도입을 통해 관망정비로 인한 수질문제 발생 등 실무자의 우려를 최소화하였다.
3) 시범 대상 지역의 EPANET2 입력파일을 이용해 관망해석, 최적경로분석 및 정비된 관망에 대한 관망해석을 통하여 본 프로그램의 우수성과 관망정비 사업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최적경로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범지역인 Y_지역 배수관망의 경우 66개의 관로, 6,465 m의 관로 연장이 제거 또는 정비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전체관로 길이의 18.3%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망정비를 통해 상수관망의 Eulerian path 적합도는 52.45%로 기존 대비 약 10.3%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6개의 관로를 전면 제거하는 경우 역방향 흐름 비율 또한 0.44%로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비된 관망에 대한 해석결과에 따르면 관망정비로 인한 최소압력수두는 변동이 없으며, 수리적 관점에서 용수공급에 대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수질적 측면에서 관로길이의 감소로 인한 체류시간의 감소로 최소잔류염소의 농도가 0.011 mg/L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독제 주입률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o. 2022R1A2C10064941361382116530103)임.

Notes

Declaration of Competing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known competing interests or personal relationships that could have appeared to influence the work reported in this paper.

Fig. 1.
Sequential pipe removal procedure using the minimum hydraulic gradient method.
KSEE-2024-46-6-300f1.jpg
Fig. 2.
The result of Y_area pipe network analysis(hydraulic pressure, head).
KSEE-2024-46-6-300f2.jpg
Fig. 3.
The result of Y_area pipe network analysis(residual chlorine, mg/L).
KSEE-2024-46-6-300f3.jpg
Fig. 4.
The result of Eulerian path network analysis(node : hydraulic pressure, link : head loss).
KSEE-2024-46-6-300f4.jpg
Fig. 5.
The result of Eulerian path network analysis(node : residual chlorine, link : velocity).
KSEE-2024-46-6-300f5.jpg
Fig. 6.
The result of optimal path analysis (based on Eulerian path concept).
KSEE-2024-46-6-300f6.jpg
Fig. 7.
The result of optimal path analysis (degree of Eulerian path).
KSEE-2024-46-6-300f7.jpg
Fig. 8.
The result of optimal path analysis (Proportion of reverse flow-direction).
KSEE-2024-46-6-300f8.jpg
Fig. 9.
The result of Eulerian path network analysis for output (node : hydraulic pressure, link : head loss).
KSEE-2024-46-6-300f9.jpg
Fig. 10.
The result of Eulerian path network analysis for output (node : residual chlorine, link : velocity).
KSEE-2024-46-6-300f10.jpg

References

1. S. Yoon, H. R. Kil, D. Y. Choi, J. Kim, N. Park, A Feasibility Study on Application of Eulerian Path Concept to Design of Water Supply Pipe Network, J. Korean Soc. Environ. Eng., 44(9), 298-307(2022).
crossref
2. S. H. Park, S. Yoon, D. Y. Choi, N. Park, A Feasibility Study on Applying the Concept of Removing Odd Nodes to Design of Water Supply Pipe Network, Korean Soc. Environ. Eng., 45(5), 235-243(2023).
crossref
3. D. W. Jung, G. Chung, J. H. Kim, Optimal design of water system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n the demands and roughness coefficients, J.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0(1), 73-80(2010).

4. D. E. Chang, K. R. Ha, H. D. Jun, K. H. Kang, Determination of optimal pressure monitoring location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entropy theory and genetic algorithm, J.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6(1), 1-12(2012).

5. R. T. Bachmann, R. G. J Edyvean, Biofouling: an historic and contemporary review of its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Biofilms., 2(3), 197-227(2005).
crossref
6. R. Jafari, M. J. Khanjani, H. R. Esmaeilian, Pressure Management and Electric Power Production Using Pumps as Turbines, J. AWWA., 107(7), E351-E363(2015).
crossref pdf
7. M. L. Maslia, J. B. Sautner, M. M. Aral, R. E. Gilling, J. J. Reyes, R. C. Williams,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the Water-Distribution System Serving the Dover Township Area, New Jersey; January 1962-December 1996.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tlanta, Georgia, USA (2001).

8. John. P. Vı´tkovský, J. A. Liggett, A. R. Simpson, M. ASCE, M. F. Lambert, Optimal measurement site locations for inverse transient analysis in pipe networks, J. of Water Resour. Plan. Manage., 129, 480-492(2003).
crossref
9. S. Lee, S. Lee, Genetic Algorithms for Optimal Augmentatio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J. Korea Water Resour. Assoc., 34(5), 567-575(2001).

10. J. Kim, H. Jun, Restricted Water Supply Planning by Using Mixed Integral Programming Model, J. Korean Soc. Hazard Mitig. ., 17(3), 97-108(2017).

11. D. E. Chang, K. R. Ha, H. D. Jun, K. H. Kang, Determination of Optimal Pressure Monitoring Location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Entropy Theory and Genetic Algorithm, J.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6(1), 1-12(2012).
crossref
12. S. Kim, K. Jung, S. Yoon, N.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Model Structure and Demand Allocation on Water Network Modeling, J. Korean Soc. Environ. Eng., 42(3)(3), 110-120(2020).
crossref
13. J. Kim, Harmony search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to optimization problems in civil and water resources engineering, J. Korea Water Resour. Assoc., 51(4), 281-291(2018).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859
View
53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464 Cheongpa-ro, #726, Jung-gu, Seoul 04510, Republic of Korea
TEL : +82-2-383-9653   FAX : +82-2-383-9654   E-mail : ksee@kosenv.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Developed in M2PI